부동산,개발행위,토목,건축시공,인허가

창고와 가설창고(가설 건축물)의 차이점은 뭐지?

dadanumber1 2025. 3. 19. 19:17

이글에선 창고와 가설창고라 부르기도 하는 가설건축물의 차이점, 대출 가능 여부,
존치기간 및 연장 방법과,천안시 조례에 따른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가설창고의
마감재 규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창고를 짓기 전 꼭 알아두시면 유익한 정보이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1. 창고와 가설창고의 일반적인 차이점은 상당합니다.

창고는 정식 건축물로 건축허가 및 준공검사후 사용가능합니다.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어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별다른 존치기간등이 없고,
은행 담보대출이 가능하며 마감재 규제역시 비교적 자유로운 정식 건축물입니다.

가설창고 임시건축물의 개념입니다.
건축허가가 필요하지 않고 간단한 신고만 필요하고 최초 3년 존치후 3년마다
연장해야
하며, 연장을 하지 않으면 불법건축물이 되니까 주의 해야 합니다.

다만,공장허가를 받을 때 포함된 가설창고같은 경우는 존치기간 연장을 따로 할
필요가 없이 자동 연장됩니다
.

창고는 정식건물이므로 대출이 가능하지만, 가설 창고는 임시건물의 개념이다 보니
은행대출이 불가능합니다
.
그러나 해당 가설건축물이 위치한 토지는 대출이 가능합니다.
가설창고는 구조와 마감재에서 규제가 있습니다.

2.두 건축물의 구조와 마감재의 차이를 살펴보면,

창고는 정식 허가건물이므로, 창고의 구조는 일반철골이나 경량철골등
설계기준을 충족하여 허가상 문제가 없다면 별다른 제약이 없고 마감재도
허가규정에 충족한다면 제한이 없습니다
.

반면에, 가설창고의 구조는 H-BEAM등의 일반철골은 사용불가이며 각관,
파이프등의 경량철골조를 적용하여야 하며, 외벽이나 지붕에 판넬사용은
불가하고 천막지등을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

, 천안시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조례를 통해 첨단업종인 경우에 한하여
가설창고의 지붕과 벽을 판넬로 마감할수 있게 허용하고 있습니다
.
첨단업종의 경우에 원자재와 생산된 제품의 임시보관시에도 태양빛이나
기온등의 기상상황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는 상황을 방지할 목적과 첨단
업종이 많은 지역적인 특색이 결합된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많은 공장과 제조
업소에서 혜택을 보는중입니다
.

3.법적 설계기준의 적용여부를 알아보면,

창고는 정식 허가건물이므로 기초의 두께나 기둥의 크기등 설계상의 모든 요소가
허가기준을 충족시켜야 하고 허가시 담당 공무원의 검토대상입니다
.

반면에 가설창고는 설계나 허가기준이 없습니다.
임시건축물 개념이다보니 허가가 필요없고 특별히 지켜야 할 설계기준이 없습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경량철골조 구조에 마감재, 그리고 다음에 나오는 이격거리와
높이 규정만 지키면 건물의 크기나 기둥의 간격 마감재의 두께등은 건축주가 하고
싶은대로 하는게 가설창고입니다
.

4.두 건축물의 이격거리 제한에 대해 알아보면,

창고는 간축법 시행령을 적용을 받으며 인접건물의 높이와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그 경계에서
0.5m~1.0m이상 이격해야 합니다.

반면에, 가설창고는 화재시 화재확산 방지목적 개념이 적용되어 부지경계와
인접건물에서의 이격거리가
3.0m이상으로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4.결론적으로 두 건축물은 어떤 경우에 적용해야 할까요?

📌 창고가 적합한 경우는 장기적으로 창고를 운영할 계획이고, 은행 대출을 받아
창고를 짓고 싶으며
, 구조적으로 검토된 설계에 의해 법적으로 안정적인 창고를
원한다면 "창고"로 허가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 가설창고가 적합한 경우는 차후 불필요할 경우 철거시에 행정절차가 비교적 간단하고,
부지가 여유는 있지만 건페율이 꽉차서 "창고"로 정식 허가를 받을수 없는 경우지만
창고시설이 필요 할 때나
, 대출이 거의 불가함으로 예산상의 여유가 있을 때 진행할수
있을겁니다
.
공사비 측면에서도 상당한 비용을 아끼실수 있을겁니다.

 

5. 추가적인 힌트로 마무리 하면,

첨단업종이 아닌 상태에서 건페율은 꽉 찼는데 판넬로 마감한 창고는 더 필요한 상황에서
눈으로 보이는 주차장이나 야적장이 쓸데없이 크다면 방법이 있으니 연락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도 부탁드립니다.